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 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11월 07일
음력(陰曆) 2020년 09월 22일
庚子年(경자년) 丙戌月(병술월) 甲寅日(갑인일) - 立冬前(입동전)
庚子年(경자년) 丁亥月(정해월) 甲寅日(갑인일) - 立冬後(입동후)
日辰(일진)은 甲寅(갑인)입니다.
오늘의 節氣上(절기상) 立冬(입동)에 該當(해당)합니다.
2020년 立冬(입동) 節入時間(절입시간)은 陽曆(양력)으로 2020년 11월 07일 08시 14분입니다.
立冬(입동)을 基準(기준)으로 月(월)이 丙戌月(병술월)에서 丁亥月(丁해월)로 바뀌게 됩니다.
즉 立冬(입동) 節入時間(절입시간)을 보면 陽曆(양력)으로 2020년 11월 07일 08시 14분이므로 이 시각 이전에 태어나게 되면 庚子年(경자년) 丙戌月(병술월) 甲寅日(갑인일)이 되고,
陽曆(양력)으로 2020년 11월 07일 08시 14분부터는 庚子年(경자년) 丁亥月(정해월) 甲寅日(갑인일)이 됩니다.
立冬節入時間(입동절입시간)을 보면 陽曆(양력)으로 2020년 11월 07일 08시 14분이므로 戊辰時(무진시)가 되는데, 같은 戊辰時(무진시)라고 하더라도 立冬節入時間(입동절입시간)을 前後(전후)로 月柱(월주)가 丙戌月(병술월)에서 丁亥月(정해월)로 달라지니 四柱(사주)를 看命(간명)함에 있어 자세히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이것이 별것 아닌 것 같으나 천명(天命)을 받고 태어나는 당사자(當事者)에게는 큰 차이(差異)가 있는 것이며,
사주팔자(四柱八字) 중에 한두 글자의 차이(差異)가 그 주인공(主人公)의 삶에서는 엄청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년월(年月)이 바뀌는 절기(節氣)는 그 절입시간(節入時間)을 자세히 살펴야 할 것입니다.
立冬前(입동전)으로 命式(명식)을 보면.....
甲木日干(갑목일간)이 늦가을이자 土旺節(토왕절)인 戌月(술월)에 태어난 命式(명식)이 됩니다.
甲木(갑목)이라고 하는 것은 陽木(양목)으로 큰나무 즉 大林木(대림목)으로 比喩(비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甲木(갑목)은 生木(생목)인 境遇(경우)에는 丙火(병화)와 癸水(계수)로 配合(배합)을 하여 木火通明(목화통명)을 이루어 꽃을 피우는 것이 그 用度(용도)가 되며,
다 자란 成木(성목)이 되면 庚金(경금)으로 斫伐(작벌)하여 棟樑之木(동량지목)으로 使用(사용)하는 用度(용도)가 있습니다.
이러한 甲木(갑목)이 戌月(술월)에 태어나게 되면 四柱(사주)의 格局(격국)으로는 陽木(양목)인 甲木(갑목)이 陽土(양토)인 戌土(술토)를 보아 偏財格(편재격)이 되는데 戌月(술월)은 日干(일간)인 甲木(갑목)은 弱(약)하고 財星(재성)인 土(토)가 旺(왕)하여 財多身弱(재다신약)한 四柱(사주)가 됩니다.
따라서 弱(약)한 日干甲木(일간갑목)이 旺(왕)한 財星(재성)을 堪當(감당)하기 위해서는 印星(인성)인 水(수)가 있어 甲木(갑목)을 生助(생조)하거나, 比刧(비겁)인 木(목)이 있어 日干(일간)을 帮身(방신)해야 旺(왕)한 財星(재성)을 堪當(감당)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戌月(술월)은 土(토)가 旺(왕)한 土旺節(토왕절)이면서 水氣(수기)가 매우 不足(부족)하여 乾燥(건조)하며, 또 겨울인 亥月(해월)과 맞닿아 있어 매우 차갑습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印星(인성)인 水(수)가 있어 日干(일간)인 甲木(갑목)을 生助(생조)함이 急先務(급선무)가 되며, 다음으로는 食傷(식상)이 火(화)가 있어 차가운 戌月(술월)의 氣候(기후)를 따뜻하게 해야 할 것입니다.
日支(일지)를 보면 寅木(인목)이 있어 甲寅日柱(갑인일주)가 되니 日干(일간)이 弱(약)하지 않으나 水氣(수기)가 不足(부족)한 木(목)은 死木(사목)이 될 것인데, 年支(년지)에 子水(자수)가 있어 甲木(갑목)을 生助(생조)함이 좋습니다.
더하여 年干(년간)의 庚金(경금)이 있어 子水(자수)를 生助(생조)하는 중에 月干(월간)의 丙火(병화)가 있어 調候(조후)하니 四柱(사주)의 짜임이 좋습니다.
단, 月干(월간)의 丙火(병화)가 年干(년간)의 庚金(경금)을 破剋(파극)함은 아쉽다 할 것입니다.
生時(생시)를 보면...
立冬前(입동전)으로 生時(생시)를 보아야 하니 甲子時(갑자시) 乙丑時(을축시) 丙寅時(병인시) 丁卯時(정묘시) 戊辰時(무진시)를 볼 수 있는데,
甲子時(갑자시)는 時支(시지)에서 다시 子水(자수)를 보아 甲木(갑목)의 뿌리를 培養(배양)함이 좋으나,
乙丑時(을축시)는 時支(시지)에 丑土(축토)를 보고 時干(시간)에 乙木(을목)을 보는데 乙木(을목)은 日干(일간)인 甲木(갑목)에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丙寅時(병인시)는 다시 時支(시지)에서 寅木(인목)을 보고 丙火(병화)를 보아 四柱(사주)가 매우 乾燥(건조)해지게 되니 年支(년지)의 子水(자수)가 살아나야 乾燥(건조)함을 해갈할 수 있을 것입니다.
丁卯時(정묘시) 또한 丙寅時(병인시)와 同論(동론)하면 좋을 것입니다.
立冬後(입동후)로 命式(명식)을 보면.....
甲木日干(갑목일간)이 初冬(초동)이나 水旺節(수왕절)인 亥月(해월)에 태어났습니다.
戌月(술월)의 甲木(갑목)은 土旺(토왕)하고 日干(일간)은 弱(약)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亥月(해월)의 甲木(갑목)은 月支(월지)의 亥(해)가 甲木(갑목)의 長生(장생)이 되니 日干(일간)인 甲木(갑목)이 弱(약)하지 않습니다.
즉 亥(해)는 日干(일간)인 甲木(갑목)이 通根(통근)을 할 수 있으며 더하여 亥中壬水(해중임수)의 生助(생조)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단, 亥月(해월)은 겨울이기 때문에 萬物(만물)이 얼게 됩니다.
따라서 亥月(해월)의 甲木(갑목)은 가장 먼저 食傷(식상)인 火(화)가 있어 調候(조후)함이 切實(절실)합니다.
그래야 물이 얼어 나무을 얼어죽게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더하여 庚金(경금)이 있다고 하면 다자란 成木(성목)을 斫伐(작벌)하여 棟樑之木(동량지목)으로 쓸 수가 있는데 이때는 甲木日干(갑목일간)이 旺(왕)하면 旺(왕)할수록 큰 재목으로의 用度(용도)가 生氣(생기)가 됩니다.
庚金(경금)을 使用(사용)할 때는 丁火(정화)가 있어 庚金(경금)을 鍛鍊(단련)해야 庚金(경금)이 甲木(갑목)을 傷害(상해)하지 않을 것입니다.
日支(일지)를 보면 寅木(인목)을 보아 甲寅日柱(갑인일주)가 되는데 月支(월지)의 亥水(해수)와 寅亥合木(인해합목)하니 亥月(해월)의 木(목)이라도 마치 春節(춘절)의 甲木(갑목)과 같이 旺(왕)해지게 됩니다.
年干(년간)에 七殺(칠살)인 庚金(경금)이 있어 甲木(갑목)을 斫伐(작벌)함은 좋은데, 年支(년지)에 子水(자수)가 있어 庚金(경금)의 氣運(기운)을 洩氣(설기)함은 불미하다 할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까요...???
生時(생시)를 보면...
立冬後(입동후)로 보아야 하므로 戊辰時(무진시)부터 乙亥時(을해시) 까지 볼 수 있는데,
己巳時(기사시)는 日干(일간)인 甲木(갑목)과 時干(시간)의 己土(기토)가 서로 貪合(탐합)함이 좋지 못하며,
庚午時(경오시)는 時支(시지)에서 午火(오화)를 보고 庚金(경금)이 透出(투출)하니 寅中丙火(인중병화)로 調候(조후)하고 丁火(정화)로 庚金(경금)을 鍛鍊(단련)하여 庚金(경금)으로 甲木(갑목)을 斫伐(작벌)하여 棟樑之木(동량지목)으로 使用(사용)할 수 있습니다.
壬申時(임신시)는 日時支(일시지)로 寅申沖(인신충)이 됨이 不吉(불길)이며,
癸酉時(계유시) 또한 沖(충)은 되지 않더라도 癸水(계수)가 透出(투출)하여 丁火(정화)를 破剋(파극)함이 좋지 못합니다.
餘他(여타)의 生時(생시)도 推論(추론)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내용을 출산택일에 참고하시는 경우에는 남자아이인지 여자아이인지 확인하시고 대운(大運)의 흐름을 살피시고 參考(참고)하시면 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