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18일 토요일

일진(日辰) 사주명리학_제439강_2020년 01월 19일(기해년 정축월 신유일)_신금 축월생 신유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1월 19일

음력(陰曆) 2019년 12월 25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신유일(辛酉日)이며,



일진(日辰)은 신유(辛酉)입니다.





오늘의 명식(命式)을 보면...



辛金日干(신금일간)이 暮冬(모동)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日干(일간)인 辛金(신금)이라고 하는 것은 十天干(십천간) 중에서 여덟 번째의 굴자에 該當(해당)합니다.



이를 陰陽(음양)으로 區分(구분)하면 陰(음)이 되며, 木火土金水(목화토금수)의 五行(오행)으로 區分(구분)하면 金(금)이 되니 辛金(신금)은 陰金(음금)이 됩니다.



陽金(양금)인 庚金(경금)이 강인하고 냉정하고 잘 휘지 않는 성향이라고 하면, 陰金(음금)인 辛金(신금)은 庚金(경금)에 비해 부드럽고 온기가 있으며 유연합니다.



庚金(경금)은 鋼鐵(강철)이나 원광석 또는 큰바위와 같다면, 辛金(신금)은 寶石(보석)이나 珠玉(주옥) 또는 여러 가지 장신구와 같습니다.



따라서 같은 금이라고 해도 庚金(경금)과 辛金(신금)은 그 用度(용도)가 用神取用法(용신취용법)이 다릅니다.



庚金(경금)은 庚金(경금)의 강인함을 火(화)로써 다스려야 하지만, 辛金(신금)은 부드럽고 유연하기 때문에 火(화)를 보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辛金(신금)은 사시사철 傷官(상관)인 壬水(임수)를 보아 맑고 밝고 깨끗하게 淘洗(도세)함을 좋아하며, 壬水(임수)를 봐야 辛金(신금)으로서의 用度(용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巳午未月(사오미월)의 辛金(신금)은 火(화)가 旺(왕)한 季節(계절)이라 壬水(임수)의 需要(수요)가 切實(절실)하며,



反對(반대)로 亥子丑月(해자축월)의 辛金(신금)은 嚴冬雪寒(엄동설한)이기 때문에 壬水(임수)가 있어도 얼어서 쓸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亥子丑月(해자축월)의 辛金(신금)은 壬水(임수)와는 별도로 반드시 火(화)가 있어 調候(조후)해야 壬水(임수)를 取用(취용)할 수 있습니다.





辛金日干(신금일간)이 태어난 月令(월령)을 보면 嚴冬雪寒(엄동설한)인 丑月(축월)입니다.



亥子丑月(해자축월)이 모두 北方(북방)에 該當(해당)하여 季節(계절)로는 같은 겨울이라고 해도 差異(차이)가 있습니다.



亥月(해월)이나 子月(자월)은 겨울이면서 水(수)가 旺(왕)한 季節(계절)이기 때문에 日干(일간)인 辛金(신금)이 月令(월령)에 뿌리를 두지 못합니다. 그런 중에 水(수)가 勢力(세력)을 얻으니 金水眞傷官格(금수진상관격)이 되어 日干(일간)은 弱(약)하고 水(수)가 旺(왕)하니 水多金沈(수다금침)이 되는 상황입니다.



反面(반면)에 같은 겨울이라도 丑月(축월)은 水旺節(수왕절)이 아니라 印星(인성)인 土(토)가 旺(왕)한 季節(계절)입니다.



따라서 月令(월령)에 辛金(신금)이 뿌리를 둘 수 있으며, 印星(인성)인 土(토)의 生助(생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日干(일간)의 旺衰(왕쇠)는 크게 神經(신경)쓰지 않아도 되며, 가장 시급한 것이 火(화)를 얻어 調候(조후)하는 것, 그리고 壬水(임수)를 보아 辛金(신금)을 淘洗珠玉(도세주옥)하는 것입니다.



丙火(병화)와 壬水(임수)가 모두 있다고 하면 丙火(병화)로 調候(조후)하고 壬水(임수)로 淘洗(도세)하니 富貴(부귀)를 크게 얻게 될 것이나,



丙火(병화)가 없는 중에 壬水(임수)만 있거나 丙火(병화)와 壬水(임수)가 모두 없다면 貧寒(빈한)한 사람이 될 것입니다.



亥子丑月(해자축월)은 모두 冬節(동절)이기 때문에 癸水(계수)가 透出(투출)하는 것은 마땅치 못합니다.





다시 命式(명식)을 보면...



辛金日干(신금일간)이 土旺節(토왕절)이자 嚴冬(엄동)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四柱(사주)의 格(격)으로는 陰金(음금)인 辛金(신금)이 陰土(음토)인 辛金(신금)을 보아 偏印格(편인격)이 되며, 月令(월령)의 丑中己土(축중기토)가 年干(년간)에 透出(투출)하니 原案的(원안적)이 偏印格(편인격)이 됩니다.



단, 다시 戊土(무토)가 透出(투출)하거다 他干支(타간지)에서 다시 印星(인성)인 土(토)를 보게 되면 이때는 母旺子衰(모왕자쇠)가 될 수 있음을 銘心(명심)해야 합니다.



年支(년지)를 보면 亥水(해수)가 있어 亥中壬水(해중임수)로 日干(일간)인 辛金(신금)을 淘洗(도세)할 수 있습니다.



단, 丑月(축월)이 冬節(동절)이라 亥水(해수)가 얼게 되니 반드시 火(화)를 보아 調候(조후)해야 壬水(임수)를 쓸 수가 있습니다.



日支(일지)를 보면 酉金(유금)을 보아 辛酉日柱(신유일주)가 되는데, 月令(월령)의 丑土(축토)와 酉金(유금)이 서로 酉丑會金(유축회금)하여 金(금)이 旺(왕)해지게 됩니다.



月干(월간)의 丁火(정화)는 七殺(칠살)로서 辛金(신금)을 剋害(극해)하나 地支(지지)로 뿌리가 없고 年干(년간)의 己土(기토)가 있어 辛金(신금)으 크게 危害(위해)하지는 못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生時(생시)를 보면...



戊子時(무자시)는 嚴冬(엄동)인 丑月(축월)에 다시 子水(자수)를 보아 寒氣(한기)가 심해지게 되고, 辛金日干(신금일간)이 旺(왕)한 중에 다시 戊土(무토)가 透出(투출)하게 되면 埋金(매금)의 憂慮(우려)가 있습니다.



戊戌時(무술시) 또한 日干(일간)인 辛金(신금)이 埋金(매금)될 수 있으며,



庚寅時(경인시)는 時支(시지)에 寅木(인목)을 보아 寅中丙火(인중병화)로 調候(조후)할 수는 있으나 그 힘이 매우 微弱(미약)합니다.



辛卯時(신묘시)는 日時支(일시지)로 卯酉沖(묘유충)이 되니 不吉(불길)이요,



壬辰時(임진시)는 壬水(임수)가 透出(투출)함은 좋으나 亦是(역시) 調候(조후)가 되지 못하여 물이 얼게 됩니다.



癸巳時(계사시)는 地支(지지)로 巳酉丑金局(사유축금국)을 具全(구전)하여 日干(일간)이 매우 旺(왕)해지게 됩니다.



丙申時(병신시)나 丁酉時(정유시) 또한 丙丁火(병정화)가 透出(투출)하기는 하나 그 뿌리가 없으며, 時支(시지)에서 申酉金(신유금)을 보아 日干(일간)만 旺(왕)해지게 됩니다.



餘他(여타)의 生時(생시)도 推論(추론)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