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31일 금요일
[일진(日辰)사주명리학/출산택일]_제453강_2020년 02월 02일(기해년 정축월 을해일)_을목 축월생 을해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2월 02일
음력(陰曆) 2020년 01월 09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을해일(乙亥日)이며,
일진(日辰)은 을해(乙亥)입니다.
오늘은 日干(일간)인 乙木(을목)이 土旺節(토왕절)이자 늦겨울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을 때 四柱(사주)보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四柱命式(사주명식)을 보면...
乙木日干(을목일간)이 嚴冬(엄동)이자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亥子月(해자월)도 겨울이고 丑月(축월)도 겨울인데 丑月(축월)은 土旺節(토왕절)이라 한겨울임을 간과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丑月(축월)이 오히려 체감으로는 더 추울 수 있으며, 乙木(을목)이 丑月(축월)에 태어나게 되면 한겨울에 花草(화초)가 태어난 것과 같습니다.
乙木(을목)이라고 하는 것은 甲木(갑목)과는 달리 卉木(훼목)으로 꽃을 피우는 花草(화초)와 같습니다.
그러한 乙木(을목)이 한겨울에 태어났으니 寒氣(한기)가 極甚(극심)하여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丑月(축월)에 태어나는 乙木(을목)은 가장 必要(필요)한 것이 불의 氣運(기운) 즉 火(화)를 얻는 것입니다.
한겨울에 火(화)가 없다고 하면 매우 춥고 습하기 때문에 풀 한포기 자랄 수 없으며, 매우 貧賤(빈천)하고 貧寒(빈한)한 四柱(사주)가 될 뿐입니다.
乙木(을목)이 丑月(축월)에 태어나게 되면 日干(일간)은 弱(약)하고 財星(재성)인 土(토)가 많으니 財多身弱(재다신약)한 命(명)이 되어 弱(약)한 日干(일간)이 많은 財星(재성)을 堪當(감당)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印星(인성)인 水(수)나 比刧(비겁)인 木(목)이 있어 日干(일간)을 도와야 하는데 日支(일지)의 亥水(해수)와 年支(년지)의 亥水(해수)가 있어 日干(일간)을 生助(생조)합니다.
그러나 丑月(축월)의 寒氣(한기)가 심하여 물이 얼게 되니 오히려 印星(인성)인 水(수)가 乙木(을목)을 얼게 만듭니다.
그렇다면 生時(생시)는 어느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좋으까요...??
강의를 들으시고 궁금한 사항은 댓글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본 내용을 출산택일에 참고하시는 경우에는 남자아이인지 여자아이인지 확인하시고 대운(大運)의 흐름을 살피시고 參考(참고)하시면 됩니다.
2020년 1월 30일 목요일
[일진(日辰)사주명리학/출산택일]_제452강_2020년 02월 01일(기해년 정축월 갑술일)_갑목 축월생 갑술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2월 01일
음력(陰曆) 2020년 01월 08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갑술일(甲戌日)이며,
일진(日辰)은 갑술(甲戌)입니다.
오늘은 甲木日干(갑목일간)이 늦겨울이나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을 때 四柱(사주)보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四柱命式(사주명식)을 보면...
甲木日干(갑목일간)이 嚴冬雪寒(엄동설한)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甲木(갑목)이라고 하는 것은 陽木(양목)으로 大林木(대림목), 즉 소나무나 은행나무 또는 편백나무처럼 큰 나무를 意味(의미)합니다.
이러한 甲木日干(갑목일간)이 태어난 月令(월령)은 嚴冬(엄동)이자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입니다.
즉 甲木(갑목)이 丑月(축월)에 태어났다고 하는 것은 한겨울이면서 財星(재성)인 土(토)가 많은 상황에 태어난 것이 됩니다.
한겨울의 甲木(갑목)이니 땅도 얼고 물도 얼고 나무도 얼게 됩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必要(필요)한 것은 불의 氣運(기운)인 火(화)를 얻어야 얼어붙은 四柱(사주)를 따뜻하게 調候(조후)할 수 있을 것이며,
調候(조후)가 잘 되어야 나무도 땅도 물도 解凍(해동)이 되어 쓸 수가 있습니다.
또 丑月(축월)의 甲木(갑목)은 日干(일간)은 弱(약)하고 財星(재성)이 旺(왕)하여 財多身弱(재다신약)한 四柱(사주)기 되는데,
日支(일지)에서 戌土(술토)를 보고 年干(년간)에 다시 己土(기토)가 透出(투출)하니 身弱財多(신약재다)함이 問題(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印星(인성)인 水(수)를 얻어 甲木(갑목)을 生助(생조)하거나, 比肩(비견)이나 刧財(겁재)를 보아 甲木(갑목)을 도와야 하는데,
어느 境遇(경우)에도 火(화)가 없으면 한겨울에 凄凉(처량)한 身世(신세)가 되어 매우 貧寒(빈한)한 사람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生時(생시)는 어느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좋으까요...??
강의를 들으시고 궁금한 사항은 댓글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사랑입니다.
※ 본 내용을 출산택일에 참고하시는 경우에는 남자아이인지 여자아이인지 확인하시고 대운(大運)의 흐름을 살피시고 參考(참고)하시면 됩니다.
2020년 1월 29일 수요일
[일진(日辰)사주명리학`출산택일]_제451강_2020년 01월 31일(기해년 정축월 계유일)_계수 축월생 계유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1월 31일
음력(陰曆) 2020년 01월 07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계유일(癸酉日)이며,
일진(日辰)은 계유(癸酉)입니다.
오늘은 癸水日干(계수일간)이 늦겨울이자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을 때 四柱(사주)보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四柱命式(사주명식)을 보면...
陰水(음수)인 癸水(계수)가 嚴冬雪寒(엄동설한)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陰水(음수)인 癸水(계수)는 雨露水(우로수)로서 작은 물에 該當(해당)합니다.
그러한 癸水(계수)가 丑月(축월)에 태어났다고 하면 한겨울인 暮冬(모동)에 태어난 것이므로 땅도 얼고 물도 얼게 됩니다.
무릇 땅이라는 것은 얼지않고 온기가 있어야 萬物(만물)이 자생할 수 있으며, 물 또한 얼지 않아야 사람이든 動物(동물)이든 植物(식물)이든 그 물을 根源(근원)으로 살 수 있습니다.
그런데 冬節(동절)인 丑月(축월)인 萬物(만물)이 얼기 때문에 물도 땅도 用度(용도)가 없습니다.
따라서 癸水(계수)가 丑月(축월)에 태어나게 되면 반드시 불의 氣運(기운)인 火(화)가 있어 한겨울의 냉기를 따듯하게 해야지만 癸水(계수)가 用度(용도)가 생기게 됩니다.
이때 불의 氣運(기운)이라는 것은 陰火(음화)인 丁火(정화)라는 것과 陽火(양화)인 丙火(병화)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이때 必要(필요)한 火(화)는 陽火(양화)인 丁火(정화)라야 겨울을 충분히 따뜻하게 할 수 있습니다.
四柱(사주)는 癸水(계수)가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나 日支(일지)의 酉金(유금)과 酉丑會金(유축회금)하고, 年支(년지)에 亥水(해수)가 있어 癸水(계수)가 弱(약)하지 않습니다.
단, 丑月(축월)에 七殺(칠살)인 己土(기토)가 透出(투출)하여 日干(일간)인 癸水(계수)를 破剋(파극)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강의를 들으시고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본 내용을 출산택일에 참고하시는 경우에는 남자아이인지 여자아이인지 확인하시고 대운(大運)의 흐름을 살피시고 參考(참고)하시면 됩니다.
2020년 1월 28일 화요일
2020년 1월 27일 월요일
일진(日辰) 사주명리학_제449강_2020년 01월 29일(기해년 정축월 신미일)_신금 축월생 신미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1월 29일
음력(陰曆) 2020년 01월 05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신미일(辛未日)이며,
일진(日辰)은 신미(辛未)입니다.
오늘은 陰金(음금)인 辛金日干(신금일간)이 土旺節(토왕절)이자 嚴冬雪寒(엄동설한)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을 때 四柱(사주)보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命式(명식)을 보면...
辛金日干(신금일간)이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四柱(사주)의 格(격)으로 보면 陰金(음금)인 辛金(신금)이 陰土(음토)인 丑土(축토)를 보아 偏印格(편인격)이 되는데, 年干(년간)에 丑中己土(축중기토)가 透出(투출)하여 原案的(원안적)인 偏印格(편인격)이 됩니다.
단, 日支(일지)에서 다시 未土(미토)를 보아 辛未日柱(신미일주)가 되는데 月日支(월일지)로 丑未沖(축미충)이 되니 四柱(사주)에 土(토)가 必要以上(필요이상)으로 많아지게 되어 母旺子衰(모왕자쇠)한 命(명)이 됩니다.
그렇다고 해도 戊土(무토)가 透出(투출)한 것은 아니므로 埋金(매금)의 憂慮(우려)는 없으나, 辛金(신금)이 土(토)에 의해서 汚染(오염)되어 濁(탁)해지는 것은 막을 길이 없습니다.
年支(년지)에는 傷官(상관)인 亥水(해수)를 보아 亥中壬水(해중임수)로 日干辛金(일간신금)을 淘洗珠玉(도세주옥)할 수 있으나, 土(토)가 많아지게 되면 亥中壬水(해중임수)가 己土濁壬(기토탁임)이 됩니다.
月干(월간)의 丁火(정화)는 地支(지지)로 뿌리가 없으니 調候(조후)의 功力(공력)이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강의를 들으시고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사주분석특강] 겨울에 가뭄이 들면 수를 용신으로 한다 _ 갑목 자월생 정인격 사주
삶 그리고 사주의 사주분석 특강....
오늘은 엄동설한 인 자월에 갑목이 태어났을 경우 수왕절이기는 하나 사주에 가뭄이 들게 되면 한겨울이라도 수를 용신으로 취용하는 경우를 알아봅니다.
삶 그리고 사주의 사주분석 특강....
오늘은 엄동설한 인 자월에 갑목이 태어났을 경우 수왕절이기는 하나 사주에 가뭄이 들게 되면 한겨울이라도 수를 용신으로 취용하는 경우를 알아봅니다.
[사주분석특강] 겨울에 가뭄이 들면 수를 용신으로 한다 _ 갑목 자월생 정인격 사주
<삶 그리고 사주>의 사주분석 특강....
오늘은 엄동설한 인 자월에 갑목이 태어났을 경우 수왕절이기는 하나 사주에 가뭄이 들게 되면 한겨울이라도 수를 용신으로 취용하는 경우를 알아봅니다.
일진(日辰) 사주명리학_제448강_2020년 01월 28일(기해년 정축월 경오일)_경금 축월생 경오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1월 28일
음력(陰曆) 2020년 01월 04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경오일(庚午日)이며,
일진(日辰)은 경오(庚午)입니다.
오늘은 庚金日干(경금일간)이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을 때 四柱(사주)보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命式(명식)을 보면...
庚金日干(경금일간)이 嚴冬雪寒(엄동설한)이자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四柱(사주)의 格(격)으로 보면 陽金(양금)인 庚金(경금)이 陰土(음토)인 丑土(축토)를 보아 正印格(정인격)이 되며, 年干(년간)에 己土(기토)가 있어 原案的(원안적)인 正印格(정인격)이 됩니다.
亥月(해월)이나 子月(자월)은 庚金立場(경금입장)에서 食傷(식상)이 旺(왕)하여 洩氣(설기)가 심한 것이 問題(문제)이나,
丑月(축월)은 庚金(경금)에게 印星(인성)이며 丑土(축토)에 다시 通根(통근)도 가능하니 너무 日干(일간)의 旺衰(왕쇠)에 치중할 必要(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切實(절실)한 것이 火(화)를 보는 것인데, 年支(년지)에 食神(식신)인 亥水(해수)가 있어 한겨울에 寒氣(한기)를 가중하고 庚金(경금)의 氣運(기운)을 洩氣(설기)합니다.
日支(일지)를 보면 正官(정관)인 午火(오화)를 보아 庚午日柱(경오일주)가 되는데 이는 月干(월간)에 透出(투출)한 丁火(정화)의 뿌리가 되어 미흡하지만 調候(조후)와 더불어 庚金(경금)을 鍛鍊(단련)할 수 있습니다.
단, 年干(년간)에 己土(기토)가 있어 庚金(경금)을 生(생)하는 것은 좋으나 用神(용신)인 火(화)의 氣運(기운)을 洩氣(설기)하는 것은 좋지 못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강의를 들으시고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2020년 1월 25일 토요일
일진(日辰) 사주명리학_제447강_2020년 01월 27일(기해년 정축월 기사일)_기토 축월생 기사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1월 27일
음력(陰曆) 2020년 01월 03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기사일(己巳日)이며,
일진(日辰)은 기사(己巳)입니다.
오늘은 己土日干(기토일간)이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을 때의 四柱(사주)보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命式(명식)을 보면...
己土日干(기토일간)이 嚴冬雪寒(엄동설한)이자 土旺節(토왕절)이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四柱(사주)의 格(격)은 己土(기토)가 月令(월령)을 얻어 旺(왕)하므로 建祿格(건록격)으로 보면 됩니다.
陰土(음토)인 己土(기토)는 陽土(양토)인 戊土(무토)와 달라 旺(왕)하더라도 特別(특별)한 境遇(경우)가 아니면 甲木(갑목)으로 疎土(소토)하는 것 보다는, 調候(조후)를 重視(중시)해서 보는 것이 重要(중요)합니다.
즉 丑月(축월)은 嚴冬(엄동)이기 때문에 반드시 火(화)가 있어야 하는데, 年支(년지)를 보면 亥水(해수)가 있어 土(토)를 潤土(윤토)하나 冬節(동절)에 火(화)가 없다고 하면 水(수)는 얼게 되니 水土(수토)가 모두 生氣(생기)가 없어지게 됩니다.
日支(일지)를 보면 巳火(사화)를 보아 己巳日柱(기사일주)가 되는데 丑月(축월)에 日支(일지)의 巳火(사화)는 충분하지는 않으나 冬節(동절)의 寒氣(한기)를 따뜻하게 調候(조후)할 수있습니다.
月干(월간)의 丁火(정화)는 冬節(동절)에 調候(조후)의 用度(용도)가 있으나, 年干(년간)의 己土(기토)가 있어 火(화)의 氣運(기운)을 洩氣(설기)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강의를 들으시고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일진(日辰) 사주명리학_제446강_2020년 01월 26일(기해년 정축월 무진일)_무토 축월생 무진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1월 26일
음력(陰曆) 2020년 01월 02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무진일(戊辰日)이며,
일진(日辰)은 무진(戊辰)입니다.
오늘은 戊土日干(무토일간)이 嚴冬雪寒(엄동설한)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을 때 四柱(사주)보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命式(명식)을 보면....
戊土日干(무토일간)이 嚴冬(엄동)이자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四柱(사주)의 格(격)으로는 戊土(무토)가 四季月(사계월) 중에 하나인 丑月(축월)에 태어난 것이라 建祿格(건록격)으로 보면 될 것입니다.
일단 丑月(축월)의 戊土(무토)는 月令(월령)을 얻어 日干(일간)이 旺(왕)하므로 甲木(갑목)을 얻어 戊土(무토)를 疎土(소토)하고 丙火(병화)로 調候(조후)해야 합니다.
日支(일지)를 보면 辰土(진토)를 보아 戊辰日柱(무진일주)가 되는데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다시 日支(일지)에서 다시 辰土(진토)를 보아 日干(일간)이 더욱 旺(왕)해지게 되며,
年干(년간)에 다시 己土(기토)가 透出(투출)하니 四柱全般(사주전반)이 日干(일간)이 매우 旺(왕)한 四柱(사주)가 됩니다.
年支(년지)를 보면 偏財(편재)인 亥水(해수)를 보았는데 地支(지지)로 한점의 水(수)는 丑月(축월)이라고 하더라도 必要(필요)합니다.
단, 火(화)가 없게 되면 水(수)가 얼게 되어 用度(용도)가 없으니 반드시 火(화)를 얻어야 하는데, 月干(월간)에 正印(정인)인 丁火(정화)가 있으나 地支(지지)로 뿌리가 全無(전무)하니 調候(조후)의 用度(용도)가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강의를 들으시고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2020년 1월 23일 목요일
일진(日辰) 사주명리학_제445강_2020년 01월 25일(기해년 정축월 정묘일)_정화 축월생 정묘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1월 25일
음력(陰曆) 2020년 01월 01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정묘일(丁卯日)이며,
일진(日辰)은 정묘(丁卯)입니다.
오늘은 丁火日干(정화일간)이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을 때 四柱(사주)보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命式(명식)을 보면...
丁火日干(정화일간)이 늦가을이자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四柱(사주)의 格(격)으로 보면 陰火(음화)인 丁火(정화)가 陰土(음토)인 丑土(축토)를 보아 食神格(식신격)이 되는데, 日干(일간)은 弱(약)하고 食神(식신)이 많아 洩氣(설기)가 심하니 泄氣太過(설기태과)한 命(명)이 됩니다.
반드시 正印(정인)인 甲木(갑목)을 보아 日干(일간)을 生助(생조)하거나, 比刧(비겁)이 있어 丁火(정화)를 도와야 함이 切實(절실)한데,
日支(일지)를 보면 卯木(묘목)을 보아 丁卯日柱(정묘일주)가 되나, 卯木(묘목)은 印星(인성)이기는 하나 濕木(습목)이라 丁火(정화)를 生助(생조)함이 미흡합니다.
年支(년지)에는 亥水(해수)가 있으나 冬節(동절)에 水(수)는 寒氣(한기)를 가중할 뿐이며, 亥中(해중)의 甲木(갑목) 또한 물속에 잠겨 있어 丁火(정화)를 生(생)하기 어렵습니다.
年干(년간)의 己土(기토)나 月干(월간)의 丁火(정화) 또한 日干(일간)을 돕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강의를 들으시고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2020년 1월 22일 수요일
일진(日辰) 사주명리학_제444강_2020년 01월 24일(기해년 정축월 병인일)_병화 축월생 병인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1월 24일
음력(陰曆) 2019년 12월 30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병인일(丙寅日)이며,
일진(日辰)은 병인(丙寅)입니다.
오늘은 丙火日干(병화일간)이 嚴冬(엄동)이자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을 때 四柱(사주)보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命式(명식)을 보면...
丙火日干(병화일간)이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四柱(사주)의 格(격)을 보면 陽火(양화)인 丙火(병화)가 陰土(음토)인 丑土(축토)를 보아 傷官格(상관격)이 되며, 年干(년간)에 丑中己土(축중기토)가 透出(투출)하니 原案的(원안적)인 傷官格(상관격)이 됩니다.
단, 日干(일간)인 丙火(병화)는 丑月(축월)에 弱(약)한 반면 土(토)는 旺(왕)하니 火土眞傷官格(화토진상관격)이 되어, 泄氣太過(설기태과)한 命(명)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印星(인성)인 木(목)이 있어 丙火(병화)를 生(생)하고 土(토)를 制(제)하게 되면 一石二鳥(일석이조)의 이로움이 있을 것인데,
日支(일지)를 보면 寅木(인목)을 보아 丙寅日柱(병인일주)가 되어 印星(인성)인 寅(인)에 日干丙火(일간병화)가 뿌리를 두니 丙火(병화)가 弱(약)하지 않습니다.
더하여 年支(년지)에 亥水(해수)가 있어 亥中壬水(해중임수)로 丙火(병화)를 水輔陽光(수보양광)할 수 있으니 四柱(사주)의 局勢(국세)를 어느 정도 갖추게 됩니다.
단, 年干(년간)의 己土(기토)는 丙火(병화)를 晦光(회광)하고 壬水(임수)를 濁(탁)하게 할 憂慮(우려)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강의를 들으시고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2020년 1월 21일 화요일
일진(日辰) 사주명리학_제443강_2020년 01월 23일(기해년 정축월 을축일)_을목 축월생 을축일주
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입니다.
오늘은...
양력(陽曆) 2020년 01월 23일
음력(陰曆) 2019년 12월 29일
기해년(己亥年) 정축월(丁丑月) 을축일(乙丑日)이며,
일진(日辰)은 을축(乙丑)입니다.
오늘은 乙木日干(을목일간)이 嚴冬(엄동)이자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을 때 四柱(사주)보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命式(명식)을 보면...
乙木日干(을목일간)이 嚴冬(엄동)이자 土旺節(토왕절)인 丑月(축월)에 태어났습니다.
四柱(사주)의 格(격)으로 보면 陰木(음목)인 乙木(을목)이 陰土(음토)인 丑土(축토)를 보아 偏財格(편재격)이 되는데, 年干(년간)에 丑中己土(축중기토)가 透出(투출)하여 原案的(원안적)인 偏財格(편재격)이 됩니다.
단, 丑月(축월)은 土旺節(토왕절)임에 비해 木(목)이 弱(약)하기 때문에 土(토)가 다시 많아지게 되면 財多身弱(재다신약)한 命(명)이 될 것입니다.
年支(년지)를 보면 正印(정인)인 亥水(해수)가 있어 乙木(을목)이 長生(장생)인 亥(해)에 뿌리를 둘 수 있습니다.
단, 丑月(축월)은 冬節(동절)이기 때문에 물이 얼게 되니 乙木(을목)의 뿌리가 얼어서 傷害(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日支(일지)를 보면 다시 丑土(축토)를 보아 乙丑日柱(을축일주)가 되니 四柱(사주)의 局勢(국세)가 財多身弱(재다신약)한 命(명)이 됩니다.
단, 年支(년지)에 印星(인성)이 있고 通根(통근)이 가능하므로 火(화)만 있다고 하면 얼어있는 물을 녹여 乙木(을목)을 生助(생조)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月干(월간)에 있는 食神丁火(식신정화)는 그 뿌리가 없어 調候(조후)의 用度(용도)가 크게 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강의를 들으시고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