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삶 그리고 四柱(사주)]의 ‘일진사주명리학’
오늘은...
양력(陽曆) 2022년 04월 01일
음력(陰曆) 2022년 03월 01일
임인년(壬寅年) 계묘월(癸卯月) 갑신일(甲申日)이며,
일진(日辰)은 갑신(甲申)입니다.
오늘의 명식(命式)을 보면...
甲木日干(갑목일간)이 仲春(중춘)인 卯月(묘월)에 태어났습니다.
日干(일간)인 甲木(갑목)이라고 하는 것은 열 개의 天干(천간) 중에서 첫 번째 天干(천간)이 되며, 陰陽五行(음양오행)으로 甲木(갑목)은 陽木(양목)이 됩니다.
陽木(양목)인 甲木(갑목)은 物像(물상)으로는 大林木(대림목)이라 하여 참나무나 편백나무 등과 같이 크고 곧은 나무와 같습니다.
反面(반면)에 陰木(음목)인 乙木(을목)은 楊柳木(양류목)이나 花草(화초)와 같아 부드럽고 유연하고 잘 휘어지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陰陽(음양)에 따라 그 성향이 다르니 陽木(양목)인 甲木(갑목)은 成木(성목)이 되는 境遇(경우) 斫伐(작벌)하여 재목으로 쓰는 것이 陽木(양목)인 甲木(갑목)의 주된 用度(용도)라 할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도 春夏節(춘하절)의 甲木(갑목)은 다 자란 成木(성목)이 아닌 生木(생목)으로 보아 이때는 재목으로 使用(사용)하기 보다는 甲木(갑목)이 성장할 수 있도록 四柱(사주)의 配合(배합)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成木(성목)으로서의 甲木(갑목)은 庚金(경금)과 丁火(정화)로 配合(배합)하는 반면, 生木(생목)인 甲木(갑목)은 丙火(병화)와 癸水(계수)로 配合(배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甲木日干(갑목일간)이 태어난 月令(월령)을 보면 仲春(중춘)인 卯月(묘월)입니다.
卯月(묘월)은 仲春(중춘) 즉 季節(계절)로는 봄이 되며, 五行(오행)으로는 木(목)이 가장 旺盛(왕성)한 시절이 됩니다.
즉 寅月(인월)은 木(목)의 臨官地(임관지)가 되고 卯月(묘월)은 木(목)의 帝旺地(제왕지)가 되어 12개월 중에서 寅卯月(인묘월)이 가장 木(목)이 旺(왕)합니다.
甲木(갑목)이 寅月(인월)이나 卯月(묘월)에 태어나면 木旺節(목왕절)에 태어난 것이 되어 日干甲木(일간갑목)이 매우 旺(왕)합니다.
基本的(기본적)으로 日干(일간)이 旺(왕)하면 官殺(관살)을 取用(취용)하여 抑制(억제)함이 기본입니다.
즉 甲木(갑목)은 旺(왕)하면 庚金(경금)을 取用(취용)하여 斫伐(작벌)하여 재목으로 使用(사용)하는 것이 甲木(갑목)의 用度(용도)가 됩니다.
그러나 春節(춘절)의 甲木(갑목)은 다 자란 成木(성목)이 아니라 성장하는 成木(성목)으로 보아 金(금)을 取用(취용)하기 보다는 丙火(병화)와 癸水(계수)로 甲木(갑목)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勿論(물론) 寅卯月(인묘월) 特히(특히) 雨水(우수)가 지나면 甲木(갑목)이 旺(왕)한 境遇(경우) 庚金(경금)을 取用(취용)할 수도 있으나,
丙火(병화)와 癸水(계수)를 取用(취용)하는 것보다 庚金(경금)을 取用(취용)하는 것은 四柱(사주)의 局勢(국세)가 떨어지게 됩니다.
정리하면 卯月(묘월)의 甲木(갑목)은 丙火(병화)와 癸水(계수)가 主要(주요)한 用神(용신)과 喜神(희신)이 되며, 庚金(경금)은 그 다음으로 使用(사용)하되 局勢(국세)는 떨어집니다.
다시 命式(명식)을 보면...
甲木日干(갑목일간)이 仲春(중춘)이자 木旺節(목왕절)인 卯月(묘월)에 태어났습니다.
四柱(사주)의 格局(격국)으로 보면 陽木(양목)인 甲木(갑목)이 月支(월지)에서 陰木(음목)인 卯木(묘목)을 보아 刧財(겁재)가 되나 四柱(사주)의 格局(격국)으로는 羊刃格(양인격)에 身旺四柱(신왕사주)가 됩니다.
身旺(신왕)하여 官殺(관살)을 取用(취용)할 수도 있겠으나 春不用金(춘불용금)으로 봄의 나무를 金(금)보다는 火(화)를 取用(취용)함이 더욱 좋습니다.
年支(년지)를 보면 寅木(인목)을 보아 木旺節(목왕절)인 卯月(묘월)에 다시 木(목)이 더욱 旺(왕)해지게 됩니다.
年月干(년월간)에는 壬癸水(임계수)가 透出(투출)하여 다시 生木(생목)하게 됩니다.
日支(일지)에는 申金(신금)을 보아 甲申日柱(갑신일주)가 되니 年月干(년월간)의 壬癸水(임계수)의 뿌리가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生時(생시)를 얻는 것이 四柱(사주)의 中和(중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까요...???
生時(생시)를 보면...
甲子時(갑자시)나 乙亥時(을해시) 등은 時支(시지)에서 亥子水(해자수)를 보아 四柱(사주)가 寒濕(한습)해지게 됩니다.
丙寅時(병인시)는 日時支(일시지)로 寅申沖(인신충)이 됨이 不吉(불길)이요,
戊辰時(무진시)는 時干(시간)의 戊土(무토)가 年月干(년월간)의 壬癸水(임계수)를 抑制(억제)하나 四柱(사주)에 火(화)가 不足(부족)한 것이 欠(흠)이 됩니다.
己巳時(기사시)는 日時支(일시지)로 巳申合水(사신합수)가 되니 亦是(역시) 金水(금수)의 氣運(기운)이 旺(왕)해지는 것이 좋지 못합니다.
庚午時(경오시)가 되면 이때는 火(화)를 取用(취용)하기 보다는 旺(왕)한 甲木(갑목)을 庚金(경금)으로 斫伐(작벌)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年月干(년월간)의 壬癸水(임계수)가 庚金(경금)의 氣運(기운)을 洩氣(설기)함이 좋지 못합니다.
壬申時(임신시)나 癸酉時(계유시)는 다시 金水(금수)의 氣運(기운)이 旺(왕)해지게 되어 좋지 못합니다.
餘他(여타)의 生時(생시)도 推論(추론)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내용을 출산택일(신생아택일)에 참고하시는 경우에는 남자아이인지 여자아이인지 확인하시고 대운(大運)의 흐름을 살피시고 參考(참고)하시면 됩니다.